[MCP] Model Context Protocol란
🍏 MCP란
= AI와 외부(데이터, 도구 등..)의 통합을 지원하는 개방형 프로토콜. (데이터 표현 규칙)
MCP를 통해 AI가 다양한 도구나 데이터 들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MCP 3-티어 아키텍처
- MCP Host = MCP를 통해서 데이터에 접근하려고 하는 프로그램 (ex Cursor, Vscode, Claude Desktop ...)
- MCP Client = 서버와의 통신 관리, 연결 상태 관리 등..
- MCP Server = 실제 기능 제공, 도구 실행
통신
Standard Input Output (Stdio) = 로컬에서 실행 .
SSE = 웹 서버에서 실행. 원격 서버 호출해서 결과를 받는다.
🍏 MCP 특징
외부 도구
= 여러 외부 도구를 AI가 사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방식으로 외부 시스템에 등록하여 제공.
LLM 공급자 간 전환 유연성
= MCP를 사용하면 특정 LLM(예: GPT, Claude 등)에 종속되지 않고
쉽게 바꿔 쓸 수 있다
보안
= 모든 데이터 접근과 도구 호출은 사용자 승인 하에 진행.
사용자 데이터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음
🍏 사용 예시
데이터 분석
MCP로 LLM이 데이터베이스 직접 질의하고 조회하여 데이터 분석 가능
대화형 인터페이스
챗봇이나 가상 비서 같은 어시스턴트가 MCP 통해서 외부 서비스와 통합 가능.
ex) Google Map조회해서 길 안내 제공
맞춤형 자동화
자동화 워크플로우 구성 가능.
ex) AI가 결제 처리, 코드 리뷰 요청 자동화, 문서들을 읽고 처리 등..
Cursor
= 프로젝트 전반을 이해하고 솔루션 제공하는 AI개발 보조 도구 cursor에서
MCP를 활용 중.
🍏 개인 예제
기존의 MCP 서버 적용해보기 (Unity)
https://yun000.tistory.com/306
[MCP] MCP Unity 적용
🍏 목적MCP 서버, claude desktop을 사용해서 Unity 게임 개발에 도움을 받아보자 예를들면 특정 역할을 하는 gameObject를 만들어 달라고 할 수도 있고파일 분석을 맡길 수도 있을 것이다. 🍏 사용한 MCP
yun000.tistory.com
MCP 서버 직접 만들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