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유기 설정에 접속
- 공유기 설정 사이트에 접속
powerShell 혹은 cmd에 ipconfig를 쳐서 기본 게이트웨이를 확인합니다.
이를 복사해 인터넷에 붙여넣기 하면
아래와 같은 공유기 설정 사이트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 로그인하기
각 공유기 설정 사이트별로 초기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있습니다.
검색을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됩니다.
kt 기준 기본 아이디 : ktuser 기본 비밀번호 : megaap 혹은 homehub
(+ 계속 아이디가 틀렸다고 할 경우
계정 재설정에 들어가서 와이파이에 적힌 암호키를 입력해주고 비번 아이디를 재설정 해준다.)
2. 포트포워딩 설정하기
- 로그인 후 포트포워딩 설정 탭에 들어갑니다
kt 기준 : 장치설정 → 트래픽 관리 → 포트포워딩 설정
- 포트포워딩 설정 추가
외부 포트 : 임의로 설정
내부 포트 : 임의로 설정. 주로 외부 포트와 같은것으로 씁니다.
내부ip주소 : 서버가 되는 컴퓨터의 사설 ip주소
프로토콜 : 임의로 설정
+ tip) 포트포워딩 설정 후 잘 안될 경우 공유기를 껐다 켜보세요
3. 클라이언트와 서버 연결하기
공유기 설정 사이트 혹은 인터넷 검색으로 공인 ip주소를 확인합니다.
클라이언트의 접속 ip = 서버 컴퓨터의 공인 ip주소
클라이언트의 포트번호 = 포트포워딩 때 설정했던 것으로 ex) 9999
서버의 접속 ip = 서버 컴퓨터의 사설 ip주소
서버의 포트번호 = 포트포워딩 때 설정했던 것으로 ex) 9999
+ 현재 컴퓨터의 사설 ip주소는 ipconfig로 확인 가능
[ 요약 ]
포트넘버 (ex)9999)와 서버 컴퓨터의 사설 ip (ex) 172.1.1.1)를 포트포워딩 설정 해준다.
다른 컴퓨터에서 접속할 ip와 포트번호를
서버 컴퓨터의 공인 아이피(ex)119.1.1.1)와 9999로 하고 접속하면
서버 컴퓨터와 연결된 공유기의 포트번호 9999로 접속하는 경우 서버 컴퓨터의 사설 ip로 접속하게 했기 때문에
서버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다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로이드 와샬 알고리즘(Floyd Warshall) (1) | 2024.11.18 |
---|---|
[프로그래머스] 피로도 (C++) (0) | 2024.11.18 |
[프로그래머스] 모의고사 (C++) (0) | 2024.11.16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Dijkstra) (0) | 2024.11.15 |
[C언어] 동적 할당 malloc (0) | 2023.04.12 |